타키온 프로토콜(Tachyon Protocol)은 브이시스템즈(V SYSTEMS) 기반의 탈중앙화된 인터넷 프로토콜이자 탈중앙화된 정보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개발된 암호화폐이다.
생태계 발전에 기여한 사용자들에게 보상하여 타키온 네트워크의 토큰 이코노미를 실현하는 블록체인 매개체의 역할로 발행되었다.
티커는 IPX이다.
타키온이란 브이시스템즈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TCP/IP를 대체할 수 있는 탈중앙화 인터넷 프로토콜이다.
이는 디파이(DeFi)라는 탈중앙화 금융 시스템 개발을 위해 블록체인 인프라가 적용되는 Tachyon VPN이다.
이러한 블록체인 생태계를 형성 및 유지하여 유저를 위한 효율적인 거래 및 보상 매커니즘을 확립하기 위해 타키온 프로토콜이 개발되었다.
타키온 프로토콜은 분산해시테이블(DHT), 블록체인, UDP, 암호화 등의 기술을 접목시킴으로써 보안성이 높고 추적 불가능하며 빠른 속도를 지닌 차세대 TCP/IP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타키온 프로토콜은 TBU, TSP, TAA, 타키온SDK로 구성되어 있다.
TBU(tachyon booster UDP)는 분산해시테이블, 블록체인, UDP, 실시간 최적 경로(real-time optimal routing) 등의 기술을 도입해 네트워크의 전달 속도를 200%~1000%까지 가속화할 수 있으며, Tachyon VPN 시범 데이터에서 90% 이상의 연결 성공률을 가진다.
TSP(tachyon security protocol)은 암호화와 트래픽 은닉 체계(traffic concealing scheme)를 사용해 릴레이 노드로부터 보호하는 보안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TAA(tachyon anti-analysis)는 동시 다발 라우팅 방안(concurrent multi-routing scheme)과 다중-릴레이 포워딩 방안(multi-relay forwarding scheme)을 통해 네트워크의 안티 모니터링 기능을 확장시킨다.
마지막으로 타키온SDK는 블록체인과 결합해 쉽고 빠르게 타 프로그래밍 언어와 통합 및 활용될 수 있다.
타키온 프로토콜은 오픈 P2P 네트워크로 노드가 서비스를 제공하며 마켓을 형성한다.
각자의 노드는 각각에 맞는 역할을 갖고 있다. 먼저 클라이언트 노드는 연결을 개시하는 노드로 스마트폰, 컴퓨터, 라우터 등과 같은 소비자 레벨뿐만 아니라 iOS, 안드로이드, 윈도우, 맥, 리눅스와 같은 운영체제를 제공하는 기업 레벨을 지원한다.
제공자 노드는 컴퓨터, 라우터 등과 같은 소비자 레벨과 서버 및 윈도우, 맥, 리눅스 등의 기업 레벨 기기 등의 트래픽을 전달하는 노드이다.
마지막으로 비즈니스 노드는 대역폭을 통해 블록체인, 디앱 등의 비즈니스에 동력을 공급하는 노드이다.
비즈니스 중에는 클라이언트 노드의 컬렉션인 경우도 있다.
제공자 노드는 추가 금액을 지불하기 위한 인센티브가 없는 반면, 클라이언트 노드는 타키온 프로토콜 네트워크에 접근해야만 한다.
주요한 사이버 보안 관련 사건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2017년에는 프리즘(Prism)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미국국가안전보장국(NSA)에서 이메일, 영상/음성 채팅, 저장 사진, VolP, 파일 전송, 지정 활동 알림, 로그인 정보 등을 수집했다.
2018년에는 한 거래소가 HTTP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일반 텍스트로 보내는 것이 노출되어 해커가 인증 절차 없이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바꿀 수 있었다.
동해 5월에는 미국 연방수사국(FBI)이 대중에게 전 세계 50만 라우터를 감염시킨 악성코드인 VPN필터(VPNFilter)에 대한 주의를 주기도 했다.
해당 악성코드는 모니터링, 트래픽 조작 및 민감한 정보를 탈취하는 등 다양한 범죄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었다.
2019년 루벤 가톨릭대학(KU Leuven)은 WPA2 암호화 방식의 결함은 보안 취약점 크랙(Krack)을 통해 읽고, 훔치고, 조작된 데이터 전송이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발표하기도 했다.
역사가 반복되듯, 사이버 보안 위협은 시간이 지나도 존재하는 문제로 남아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 내릴 수 있는 결론은 1) 중앙화된 구조는 사용자 데이터를 정부의 감시/데이터 요청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없고 2) 전송 중에는 네트워크가 외부 공격으로부터 취약하며 3) 회사의 규모 또는 기술력과는 별개로 보안은 언제나 취약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었다.
아직까지도 관리자의 태도나 기술을 믿을 뿐 거기에서 사이버 보안을 적용할 수는 없다.
타키온 프로토콜은 더 실용적이고 고품격의 솔루션이 필요하며 특히 최근 떠오르는 디파이 산업에서의 사이버 보안은 가장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다.
타키온 팀은 업계에서 수년간 업무를 하며 해당 비즈니스의 단점이 어떤 것인지 인지하고 있다.
따라서 X-VPN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최대한 보호한다.
대역폭 리소스는 주로 VPN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제공되며 사용자 데이터를 임의로 입수하여 은닉할 수 있으므로 VPN 서비스 공급자가 주장하는 개인정보정책은 완벽하게는 실행될 수가 없다.
일부 VPN 서비스 제공자는 로그 보존 정책을 무시하고 사용자 데이터를 다시 판매하여 이익을 남기기도 한다. 법적 요구 사항 및 관리 명령에 따라 중앙 집중식 VPN 서비스 공급자는 강력한 기관의 감시를 받기 쉽다.
VPN 공급자는 일부 VPN 공급자로부터 일정 수량의 서버만을 제공할 수 있다.
타키온 프로토콜 해당 서버의 노드는 제한적이며 VPS 네트워크에 취약하다.
이 네트워크를 안정적이지 않으면서 속도 또한 효과적으로 보장하지 않는다.
타키온 프로토콜 콘텐츠 공급자는 VPS IP차단 스킴을 사용하여 VPN으로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에 접근하지 못하게 한다.
타키온 프로토콜은 현재 집중화도니 VPN은 기대보다 네트워크 보안, 개인정보보호, 지역 차단 및 네트워크 가속화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